2011년 1월 24일 월요일

환경 테마펀드 관심가져볼까

해외펀드 주식형펀드 투자 열기가 한 풀 꺾인 가운데 최근 환경을 테마로 한 해외펀드 상품이 잇따라 출시되고 있다.

이런 펀드는 갈수록 심각해지는 물 부족, 환경 오염, 에너지 고갈 등 인류가 직면한 위험상황에서 수익을 창출해낸다는 점에서 장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 환경테마 신상품 '봇물' = 최근 펀드업계에 유행하고 있는 테마는 물 부족이나 기후변화 등 환경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산은자산운용은 최근 국제 신용평가 기관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와 업무제휴를 맺고 물, 클린에너지, 사회간접자본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글로벌 테마펀드를 출시했다.

물을 테마로한 '글로벌 워터 펀드'는 물 부족지역 증가와 심각해지는 수질오염 등으로 수자원관리에 대한 관심과 투자 규모가 날로 커지고 있다는 점에 초점이 맞춰졌다.

신탁재산의 대부분을 수자원 관련 사업, 즉 물 관련 인프라, 유틸리티, 물관련 장비와 소재 등 업종에 종사하는 기업에 투자한다.

벤치마크지수인 S&P 글로벌워터인덱스를 기초로 2002년 2월 이후 5년간 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연 23.9%로 MSCI월드지수대비 11.5%의 초과 수익을 냈다는 게 운용사측 설명이다.

삼성투신운용도 수자원부족 상황이 심각해지는 상황을 감안해, 식수정화 수로설치, 상하수도 교체 등 물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물 펀드' 출시를 앞두고 있다.

이 펀드는 벨기에 KBC社가 6년째 운용중인 물 펀드 '에코펀드워터'를 복제한 상품이다.

CJ자산운용은 작년 11월 기관투자자를 고객으로 한 물 관련 주가연계펀드(ELF)를 설정한 바 있다.

또 대체에너지 관련 산업에 투자하는 상품도 나왔다.

산은자산운용의 '글로벌클린에너지 주식형펀드'는 신탁재산의 대부분을 청정에너지 생산 업체나 설비 및 기술관련 기업에 투자한다.

또 최근 알리안츠글로벌인베스터스자산운용은 글로벌 환경관련 산업에 집중 투자하는 '알리안츠(AllianzGI) 글로벌 에코테크 주식투자신탁 제1호'를 내놓았다.

이 펀드는 기상이변과 지구온난화로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주목을 받고 있는 대체에너지, 오염방지, 수질관리 등 분야의 첨단기술을 보유 기업에 중점적으로 투자하는 상품이다.

그 동안 대체에너지에 투자하는 펀드는 역외상품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최근 출시된 펀드는 국내에 설정된 상품으로 향후 해외펀드 비과세 방침 확정시 혜택을 볼 수 있다.

또 지구 온난화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탄소배출권에 투자하는 이른바 '탄소펀드'도 정부측 주도로 설정이 추진되고 있어 조만간 국내 시장에 선을 보일 전망이다.

◆ 장기 고수익 기대..관심 가져 볼 만 = 이들 환경관련 테마펀드들은 다른 테마펀드와 마찬가지로 시장평균치에 비해 우수한 성과를 추구한다.

산은자산운용의 물 관련 펀드가 벤치마크 지수로 삼고 있는 S&P 글로벌워터인덱스의 경우 최근 5년간 수익률이 연 23.9%로 MSCI월드지수대비 11.5%의 초과 수익을 냈다고 한다.

또 삼성투신운용이 출시를 준비중인 물 펀드의 경우, 모델이 된 KBC의 물펀드의 과거 3년간 평균 수익률이 23.03%에 달했다.

특히 이들 환경테마 펀드들은 다른 테마펀드와 달리 글로벌 분산 투자를 하고 지속가능성이 높고 장기적으로 유망한 기업을 주로 편입하는 사회적책임투자(SRI)를 기본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중국이나 인도 등 특정지역에 투자하는 상품처럼 특정시장의 부침에 따라 변동성이 커질 위험이 적다.

또 환경 문제가 일시에 부각됐다 사라지는 다른 테마와도 구별되기 때문에 포트폴리오 구성에서 '중심상품'으로 삼아도 무리가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다만 테마펀드는 정통 주식형펀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수익률 측면의 안정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또 마케팅 과정에서 특이한 테마 투자를 강조하지만 실제 투자에서는 일반 주식형펀드와 유사한 소위 '무늬만 테마'인 상품이 나올 수도 있는 만큼 주의할 필요가 있다.

한국투자증권 신제요 애널리스트는 '해당 펀드가 포트폴리오상 정체성을 잘 유지하고 있는 지, 트렌드를 반영하는 테마가 소멸되지는 않는 지 등을 유의해서 살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