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월 12일 수요일

대한민국 1% 부자들은…





중소기업을 20여 년째 경영하고 있는 기업인 A씨. 작년 여름까지 부동산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았지만 요즘에는 주식 투자에 재미를 붙였다. 전 세계 증시를 강타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쇼크'도 그의 투자욕구를 꺾지는 못했다. 1년 이상 묵혀 놓겠다는 각오로 2주 전 사들인 D사 주식은 이미 25% 이상 올라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재테크를 위해 매년 50억원 이상을 굴리는 A씨의 연간 목표 수익률은 15~20% 수준. '목표가 너무 소박한 것 아니냐'는 물음에는 코웃음을 친다. 50억원을 굴리면 10%만 수익을 올려도 연간 5억원이 생긴다. 원금이 큰 만큼 은행 정기예금 이자의 2~3배 이상을 꾸준히 벌어들인다면 그 이상의 재테크가 없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지난해까지 일반 고객을 상대로 투자상담을 하다 올해 PB센터로 옮긴 시중은행의 한 PB는 일반 고객과 PB 고객의 차이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일반 고객들은 한두 달 안에 몇 배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주식을 원합니다. 이른바 대박 종목이죠. 하지만 PB 고객들은 1년 정도 목돈을 집어 넣은 뒤 안정적으로 20% 안팎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주식을 선호합니다."
이 같은 성향은 매일경제신문이 지난 27~28일 이틀간 은행ㆍ증권사ㆍ보험사 PB(프라이빗뱅커), VM(VIP 매니저) 등을 상대로 실시한 심층 설문조사 결과 그대로 드러났다.
PB들의 대표 고객 113명에 대해 재산 상태와 투자 성향, 라이프 스타일 등 재테크 프로필을 만든 결과다.
PB들이 지목한 '대한민국 1% 부자'들의 자산 규모는 최소 50억원 이상으로, 연수익은 2억원 이상이다. 부동산, 주식, 예금에 각각 57%, 27%, 16%씩 투자하고 있다.
평균연령이 56세인 이들은 재테크에 관한 한 산전수전을 다 겪은 계층이다. 따라서 몇 배씩 재산을 뻥튀기하는 '대박'은 아예 꿈도 꾸지 않는다.
재테크 시류에 적응함으로써 중간 이상의 수익률을 안정적으로 올리겠다는 것이 이들의 재테크 전략이다.
다만 부동산에 대해서는 이중적인 태도를 보였다.
대부분 부동산을 통해 '대한민국 1% 부자'로 올라선 이들은 재산 대물림(자식에게 재산 증여)을 위해 부동산을 적극 활용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부동산 추가 매입에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편 1% 부자들에게 골프장 회원권과 피트니스센터 회원권 보유는 필수 요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90% 이상이 1.98개 골프장 회원권과 1.12개 피트니스센터 회원권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 에 대해 우리은행의 한 PB는 "단순히 레저활동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기들끼리 정보교환을 위해 회원권을 보유한다"면서 "부자들은 자신들이 투자정보를 갖고 와서 구체적인 분석을 요청하는 반면 개미들은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뭔가 화끈한 정보를 얻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